ELS 투자 설명서 보면 꼭 나오는 말…
‘녹인 발생 시 손실 가능’, ‘조기상환 배리어 미충족 시 녹아웃 불가’
대체 녹인? 녹아웃? 그게 뭐야?
지금부터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.
ELS 구조 이해의 핵심, 이 둘만 알아도 반은 성공이에요!
1️⃣ 녹인 (Knock-In): 원금 손실 발생 조건
‘녹인 배리어’는 ELS 투자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기준선이에요.
쉽게 말해, 기초자산이 너무 많이 떨어졌을 때 작동하는 장치입니다.
✅ 예시로 이해하기
- 녹인 배리어가 "기준가의 50%"로 설정된 ELS가 있다고 할게요.
- 만기까지 한 번이라도 기초자산 중 하나라도 -50% 아래로 떨어지면?
- 이 경우 녹인이 "발생”된 거예요.
- 그리고 만기에도 기준가를 회복하지 못하면,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요.
📌 녹인 = 손실 방지선이 깨지면 “이제부터 손실 가능성 열렸다”는 뜻이에요.
✔️반대로, 녹인이 발생하지 않으면 기초자산이 하락해도 원금은 보장되는 경우가 많아요!
2️⃣ 녹아웃 (Knock-Out): 조기상환 되는 조건
‘녹아웃’은 이름만 보면 손실 느낌인데…
실제로는 수익 실현의 기회 조건이에요!
✅ 예시로 이해하기
- 조기상환 배리어가 "기준가의 90%"로 설정되어 있고,
- 평가일에 기초자산이 모두 90% 이상이면?
- 🎉 바로 조기상환! 원금 + 수익을 받을 수 있어요.
📌 녹아웃 = 정해진 조건을 만족해서 중도에 수익 실현되는 경우
“지표가 기준가의 ○○% 이상”이면 녹아웃, 즉 상품이 종료되면서 수익이 확정되는 거죠.
3️⃣ 녹인 vs 녹아웃 비교 정리
항목 | 녹인 (Knock-In) | 녹아웃 (Knock-Out) |
역할 | 손실 발생 조건 | 수익 실현 조건 |
의미 | 기초자산이 일정 이하로 떨어지면 발동 | 기초자산이 일정 이상 유지되면 상환 |
투자자에게 | ‘최악의 상황 대비’ 경고등 | ‘좋은 타이밍에 수익 확정’ 기회 |
발생 시점 | 만기 전 언제든지 한 번이라도 ↓ | 특정 평가일 기준으로 ↑ |
🧩 마무리하며: 복잡한 말보다 본질을 이해하자!
ELS는 구조가 복잡해 보여도, 알고 보면 “조건부 수익” 상품이에요.
그 조건을 판단하는 기준이 바로 녹인/녹아웃인 거고요.
✔️ 녹인: 손실의 문을 여는 조건
✔️ 녹아웃: 수익을 확정 짓는 조건
📌 상품 설명서 볼 때
“녹인 배리어 50% / 조기상환 배리어 90%, 85%, 80%…”
이런 문장들 이제 어렵지 않겠죠?
📚 같이 ELS 구조 익히며 현명하게 투자해요!
초보자의 입장에서 ELS 어렵죠? 솔직히 저도 이해하는데 한참 걸렸어요🫠
하지만 기본 개념만 익히면 절대 겁먹을 필요 없어요!
우리 같이 찬찬히 공부하면서,
쫄지 말고 똑똑하게 자산 불려봅시다!
🔥 부자 되자! 화이팅!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💰 50만 원 투자 vs 적금, 뭐가 나을까? QQQ ETF와 비교 분석! (0) | 2025.05.23 |
---|---|
💰 ISA 계좌? 초보자라면 무조건 알아야 하는 절세 꿀팁 통장! (4) | 2025.05.22 |
📘 ELS 용어 정리: 배리어, 기초자산, 조기상환 뜻과 개념 총정리 - ELS 초보 가이드 (4) | 2025.05.20 |
📌 금융소득종합과세? 이자·배당으로도 세금 낸다고요?! (8) | 2025.05.19 |
📌 배당금 뜻과 입금 시기? 처음 받아본 직장인의 솔직 후기 (8) | 2025.05.18 |